강아지의 모든 것

액운을 쫓는 개 삽살개의 성격과 장단점

스마트 주인장 2021. 7. 9. 16:32

한국산 개의 품종 중 하나다. 주로 경산 등 한국 동남 지방에서 서식하던 것이 고려, 조선 시기에 전국으로 퍼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92년에 천연기념물 제368호로 공인되었다. 삽사리라고도 한다. '경산의 삽살개' 라는 명칭으로 등록되어 있다.

조선 시대의 삽살개 그림


삽살개의 이름을 풀어 쓰면 '액운(煞·살)을 쫓는(揷·삽) 개'가 된다. 삽살개는 소형견처럼 보이지만 사실 진돗개보다 크다! 대략 키 49cm~55cm, 무게는 17kg~21kg 정도 되는 중형견이다. 삽살개라는 이름으로 팔리는 소형견은 장모종의 외국견 잡종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삽살개의 털색은 크게 청색(검은 삽살개를 청삽사리라 한다)과 황색으로 나뉘며, 근래에는 백삽사리나 바둑이 삽사리도 태어나고 있다고 한다.

삽사리라고도 한다


긴 털 때문에 해학적이기도 한 이 개는 가사와 민담, 그림 가운데 자주 등장하고 있다. 신라시대에는 주로 귀족사회에서 길러오다가 신라가 망하면서 민가로 흘러나와 서민적인 개가 되었으며, 오랜 세월 우리민족과 더불어 애환을 같이 해온 것으로 알려져 왔다.

웃어요^^


일제강점기 때 진돗개가 내선일체의 수단으로 사용된 적이 있다. 일제가 천연기념물로 정하고 보호했는데, 왜냐하면 일제는 아키타 견종과 닮은 진돗개를 내선일체의 선전용으로 이용하였기 때문이다. 반면, 삽살개는 고기와 털가죽 때문에 엄청나게 도축당하는 수난을 겪었다. 내선일체에 이용되지 못하여 한반도의 많은 견종들 중에 가장 먼저 도축당한 견종이 바로 삽살개다. 그리고 2차대전의 끝자락에 심각한 물자 부족을 겪게된 일본은 결국 아키타나 도사견같은 자국개들까지 도축하고 일본 본토에서는 고양이 가죽도 벗겨 전략물자로 관리하는 지경에 까지 이르렀다. 이같은 일제의 정책은 후술할 삽살개 족보 논쟁을 불러오게 된다.

귀신 쫓는 개.. 눈빛..


협회에서는 1998년에 처음으로 삽살개를 일반인에게 분양하여 본격적인 삽살개 보급에 나서는 한편, 동해안 경비견 보내기 운동을 전개하면서 울릉도와 독도에 삽살개를 보내기도 했다.


삽살개는 여러 고전문학작품 속에서 '청삽사리'라는 이름으로 등장하고, 인간 이상으로 활약하기도 한다. 대표적인 것이 <숙향전>으로, 숙향이 마고할미의 주막에서 살게 되었을 때 그 주막에서 기르던 청삽사리가 있었다. 이 삽살개는 마고할미가 사라지고 숙향 혼자 남게 되자 충실하게 숙향을 보살피며 이선에게 편지를 전하고 답장을 받아온다, 한번은 도적이 주막을 습격할 것을 미리 알고는 숙향을 이끌어 피신케 하고 숨겨 놓은 보물을 찾는 등 대활약한다. 그러다가 숙향의 액운이 다하고 자신의 도움이 필요 없게 되자 자신을 묻을 장소를 알려준 후 그곳에서 죽는다.

단모와 장모


이를 볼 때 진돗개나 풍산개와 달리 삽살개는 여러 지역에 퍼져있지 않았나 하는 추측이 있다. 안 그러면 여러 작품에 자주 등장할 정도로 인지도가 높을 리도 없다. 그리고 이말은 삽살개가 특정 견종을 가리키는 말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는 뜻도 된다. 전술했듯 특정 견종을 육성하는 전통이 아예 존재하지 않았던 전근대 한반도의 여러 지역에서 삽살개라는 명칭이 등장한다면 그건 견종을 가리키는 말일 수가 없다.

삽살개는 이름이 말해주듯 귀신을 쫓을만큼 용감하고 당당하다. 강한 정신력을 가지고 있어 다른 개와 싸우면 절대 물러서는 법이 없다. 일단 싸움이 시작되면 말리기가 쉽지 않다. 털을 말리기도 쉽지 않다.

진돗개와 같이 충성심이 강한 개들이 흔히 그렇듯 삽살개도 강아지 때부터 사육해야 주인을 잘 따른다.

삽살개의 수명은 평균 10~12년이다.